블록체인(blockchain)은 데이터가 기록 및 관리되는 방식의 일종입니다. 블록체인은 특정한 주체 혹은 기관이 아니라 사전에 정해진 합의구조(consensus mechanism)에 따라 블록체인에 참여한 모두에 의해 유지 및 동작합니다.
블록체인상의 모든 데이터는 '블록(block)'이라 불리는 하나의 단위 속에 저장됩니다. 블록에는 재산의 소유권이든, 계약 내용이든, 송금 내용이든 등 어떠한 정보라도 기록이 가능하며 이 과정은 철저히 기록자의 자유에 따라 이뤄집니다.
하나의 블록 단위들은 분산 컴퓨팅 기술에 의해 다른 블록 단위들과 마치 체인처럼 연결됩니다. 이렇게 블록과 블록이 체인처럼 묶여 '블록체인'이 되면 대표적인 두 가지 장점이 발생합니다.
첫째,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둘째, 블록에 기록된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참여한 모두가 열람할 수 있다.
과거, 디지털 정보는 실물 자산처럼 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얻지 못해 복제 혹은 위변조에 쉽게 노출되곤 했습니다. 이는 데이터 자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형성되지 못했던 이유도 있지만, 이를 막기 위한 제반 기술도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디지털 자산이라는 개념이 정립된 현재에 이르러, 데이터 위변조와 그로 인한 각종 사회적 문제들이 대두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기술적 해결책으로서 블록체인이 주목을 받기게 이르렀습니다.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한 이유는, 블록체인상의 데이터가 중앙화된 하나의 기관이 아니라 블록체인 참여자의 컴퓨터에 모두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라고 하며, 여기서 원장이란 참여자 각각의 컴퓨터로 이해하면 편리합니다.
이처럼 하나의 데이터가 하나의 원장만 기록되는 게 아니라 모든 참여자의 원장에 기록되기 때문에, 데이터 위변조가 이뤄지려면 해커가 참여자 모두의 컴퓨터를 해킹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물리적, 시간적으로 사실상 해킹은 불가능한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서 안내드린 내용은 블록체인을 아주 원론적으로만 설명드린 것이오니 자세한 내용은 관련 서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블록체인의 개념과 기술은 지금도 계속 발전되어 나가는 중이며, 가까운 미래에는 현재와 또다른 형태의 블록체인이 탄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모든 점을 차치하고서, 블록체인이 지니는 의의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보다도
- 디지털 데이터가 복제 불가능한 자산이라는 개념을 정립시켰다는 점
- 각 개인의 정보 소유권을 특정 주체에게 위탁 관리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점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회원님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