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AC은 디지털 자산(가상자산) 오입금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자산 출금하기 전 확인사항]
1. 디지털 자산을 입금 받는 거래소의 입금전용주소를 정확히 확인하고, 지갑주소는 꼭 복사를 이용하여 사용
2. 출금하려는 디지털 자산의 2차 주소 여부 확인
- 리플(XRP)은Destination Tag 필수 입력
- 일부 거래소에서 코스모스아톰(ATOM), 페이코인(PCI) 디지털 자산에 Memo 사용
[오입금 복구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와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
1. 오입금 시, 네트워크별 복구 가능 여부
출금네트워크 |
입금네트워크 |
복구 가능여부 |
ERC20 |
ETH |
가능 |
ETH |
ERC20 |
가능 |
KCT |
KLAY |
가능 |
KLAY |
KCT |
가능 |
ERC20 |
KLAY |
가능 |
ERC20 |
KCT |
가능 |
ETH |
KLAY |
가능 |
ETH |
KCT |
가능 |
KCT |
ETH |
가능 |
KCT |
ERC20 |
가능 |
KLAY |
ETH |
가능 |
KLAY |
ERC20 |
가능 |
ETC |
ETH |
가능 |
ETC |
ERC20 |
가능 |
ETC |
KLAY |
가능 |
ETC |
KCT |
가능 |
ETH |
ETC |
가능 |
KLAY |
ETC |
가능 |
BTC |
BCH |
불가능 |
BCH |
BTC |
불가능 |
GDAC에 비상장된 디지털 자산 |
불가능 |
|
GDAC에 상장 폐지된 디지털 자산 |
불가능 |
[회원의 오입금 발생 시, 처리 방안]
오입금 발생 시, 오입금 된 디지털 자산의 복구 가능 여부가 먼저 파악이 되어야 합니다.
아래 양식에 맞춰서 접수를 해 주시면, 복구 가능 여부를 알려 드립니다.
*제목 : 오입금 복구 가능 여부 확인 요청
*내용
1) GDAC 인증 이메일 주소 :
2) 디지털 자산명 및 수량 :
3) 정상입금 지갑주소 및 거래소 :
4) 오입금 지갑주소 및 거래소 :
5) 2차 주소 (Destination Tag, Memo가 있는 디지털 자산만 기재) :
6) 출금시간 :
7) TXID :
98 첨부 화면 - 출금 거래소가 확인되는 출금내역 화면 (디지털 자산명, 수량, 출금주소, TXID)
1. 복구 가능 시
- 복구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100 USDT의 처리 수수료가 발생하며, 처리 수수료 입금이 완료된 이후 복구 작업이 진행됩니다.
- 오입금 관련 매월 21일까지 접수를 받으며, 접수 기간 이후 복구 작업이 진행되며, 이 때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 처리 기간이 연장될 수 있으며, 추가 서류가 필요한 경우 별도 안내를 드립니다.
2. 복구 불가능 시
아래의 사유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 오입금 송금 사실을 증빙하지 못하는 경우
- GDAC이 관리하지 않는 지갑으로 입금한 경우
- GDAC에서 거래지원을 하지 않거나 거래지원 종료 된 디지털 자산을 입금한 경우
- GDAC 핫월렛을 이용하여 ICO에 참여한 경우
- 탈퇴한 계정에 디지털 자산을 입금한 경우
- 메인넷이 전환 된 디지털 자산을 이전 주소로 입금한 경우
- 기타 기술적인 사유로 반환이 불가능한 경우